언론보도

/

언론보도

/

언론보도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살해 사건’에 금융피해자단체 “모든 가담자 색출, 엄단하라” 촉구 (천지일보) 조회 : 2
작성자 : 약탈경제반대행동 작성일 : 2025/10/20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살해 사건’에 금융피해자단체 “모든 가담자 색출, 엄단하라” 촉구 홍보영 기자  승인 2025.10.16 17:02 약탈경제반대행동·금융피해자연대 성명서
조직적 범죄 지적하며 수사·사법 개혁 요구캄보디아 국기. (챗GPT로 생성한 이미지)캄보디아 국기. (챗GPT로 생성한 이미지)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학생 납치·살해 사건이 거대 금융사기 범죄단체에 의한 소행으로 밝혀지자, 금융피해자 관련 시민단체들이 이번 사건의 모든 가담자를 색출하고 엄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약탈경제반대행동과 금융피해자연대는 16일 공동 성명을 통해 이 사건을 국제적인 규모의 조직적 사기 범죄로 규정하고 철저한 수사와 함께 한국 사법구조의 개혁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들 단체는 현재 캄보디아 현지에서 이 사기에 연루된 한국인이 2000여명에 달해 가해자와 피해자 구분이 혼란스러운 상황이지만, 과거 MBI, FVP, KOK, IDS홀딩스 등 국제 사기 사건 피해자들과의 연대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진상과 처리 방향이 명확하다고 밝혔다. 이들이 파악한 국제적 규모의 사기 범죄단체 조직 구도는 대개 두목-한국인 총책-국내 모집책의 구조를 지니는 거대한 불법 다단계 형태로 범죄를 조직적으로 저지르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단체들은 “본사가 있는 외국 현지의 범죄자가 범죄단체 전체를 총괄하는 두목으로 있으며 이번 캄보디아 사태의 경우 프린스 그룹의 첸지 회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고 지목했다. 또한 한국 내에서 대규모 사기 사건이 끊이지 않는 구조적 이유로 불로소득 선호와 금융 사기에 대한 약한 처벌을 들면서 “반드시 한국인 총책을 두고 한국에서 사기 범죄를 적극적으로 저지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전국적으로 다단계 조직을 두어 수많은 모집책이 피해자를 양산해왔으며 캄보디아 사태에서도 현지 텔레마켓팅 조직뿐 아니라 한국 내 피해자를 발굴해 송출한 조직이 있었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이에 약탈경제반대행동과 금융피해자연대는 “모집책 이상의 모든 조직원을 색출해 범죄단체 조직죄로 기소해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했다. 이들은 “피해자 조사를 철저히 하면 반드시 전체 피해 규모와 방식, 범죄 가담자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나아가 이들은 비록 두목이 외국인이라 할지라도 한국으로 송환해 처벌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그 이유에 대해 “그들의 범죄는 인도에 반하는 악질적인 것이므로 반드시 처벌해야 한다는 윤리적 이유도 있다”면서도 “그것보다도 그들의 범죄로 인한 피해액과 피해자 수가 가장 많은 나라가 한국이기 때문이다. 한국이 국제 사기범죄 단체의 두목을 소환해서 처벌할 권리가 있다”고 명확히 주장했다.

다만 이들 단체는 이러한 강력한 처벌을 위해서는 “한국의 부패한 사법구조를 먼저 개혁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단체들은 “한국에서는 사기꾼들은 사기 친 돈으로 전관예우 변호사를 선임하고 수사기관은 부실수사를 하고, 법원은 솜방망이 처벌을 내린다”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은 사기공화국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사법의 관행 때문에 일부러 범죄를 저지르고 한국으로 와서 솜방망이 처벌을 받으려고 하는 것”이라며 “루나-테라 사태를 일으킨 50조원대 코인 사기꾼 권도형이 이 대한민국에서 재판을 받으려고 한 것이 바로 그런 전형적인 사례”라고 덧붙였다.

 홍보영 기자 hongbo836@newscj.com
* 바로가기 :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328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