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싱크탱크 김광수 논란···"정치적 패착, 매우 우려스러운 일" (스마트트에프엔) | 조회 : 10 |
작성자 : 약탈경제반대행동 | 작성일 : 2025/07/14 |
이재명 싱크탱크 김광수 논란···"정치적 패착, 매우 우려스러운 일" 권오철 기자 승인 2025.04.21 21:20![]() 김광수 전 은행연합회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의 정책 자문기구(싱크탱크) "성장과통합"의 금융분과 위원장으로 임명돼 논란이다. 금융사기 피해자들과 금융노동계가 일제히 김 전 회장의 과거 전력을 거론하며 이재명 싱크탱크 합류를 거세게 비판했다. 이에 성장과통합 측은 "세월이 흐르면 쇠도 바뀌는데 사람이 바뀌지 않겠냐"라는 취지로 일축했다. "김광수, 금융사기 피해자의 가슴에 대못 박아" 약탈경제반대행동과 금융피해자연대 등 시민단체는 21일 논평을 통해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정책 자문기구의 금융분과 위원장에 김 전 회장이 임명된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며 "500만 금융사기 피해자들을 버리고 수상한 김광수를 선택한 것은 이재명 후보의 정치적 패착"이라고 평가했다. 이들 시민단체는 "김 전 회장이 은행연합회 회장시절 옵티머스 등 금융사기를 저지른 사모펀드를 두둔하는 망언을 해 금융사기 피해자의 가슴에 대못을 박은 일은 도저히 잊을 수 없는 사건"이라며 이재명 후보는 금융사기 피해자 전체를 적대시 하는 것이 아니라면, 우려스러운 김 금융분과 위원장을 즉각 해촉하여야 마땅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전 회장은 이력을 보면 전형적인 "금융 모피아" 출신"이라며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김광수는 금융위 금융서비스국장으로서 뇌물을 받고 부산저축은행의 대전저축은행 인수를 도왔고,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으로 있을 때 부산저축은행이 퇴출되지 않도록 편의를 봐준 혐의를 받아 검찰에 기소되기도 했다"고 꼬집었다. "금융공공성 파괴·사회적책임 외면했던 김광수" 금융노동계도 비판했다. 김형선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은 김 전 회장 임명 관련 성명을 내고 "금융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짓밟아 온 인물을 중용한 것으로, 광장에서 민주주의를 외치며 함께 싸워온 동지들에 대한 배신이며 실망스러운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김 전 회장이) 2020년부터 3년간 은행연합회장을 지내며 금융공공성의 기반을 무너뜨려왔다"면서 "그가 은행 점포 폐쇄를 전면적으로 옹호한 결과, 2020년 6411개였던 점포수는 2023년 5755개로 급감했다. 이로 인해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은 심각히 후퇴했고, 금융노동자의 생존권은 위협받았다. 나아가 금융노조와 합의한 영업시간 단축조차 윤석열 정권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일방적으로 환원시켜 노사자치 원칙을 유린했고, 노사관계를 파탄으로 몰아넣었다. 또한 금융노조가 제안한 사회공헌사업을 일축하고, 금융산업공익재단의 활동 축소 등 금융의 사회적 책임을 완전히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재명 예비후보는 비전 발표문에서 "익숙한 옛길을 과감히 폐쇄하겠다"고 했지만, 그가 영입한 김 전 회장은 탐욕스러운 금융지주들과 기득권 질서를 옹호해 온 상징적인 인물"이라며 "이재명 예비후보가 진정으로 "진짜 대한민국"을 꿈꾼다면, 민생과 정의, 공공성 강화를 중심에 두고 금융정책을 설계할 수 있는 인물을 기용하라. 금융노조는 김광수 전 회장의 영입을 즉각 철회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임병식 성장과통합 대변인은 본보와 통화에서 "시간이 변하면 단단한 쇠도 바뀌는데, 사람의 가치관과 지향점도 바뀌지 않겠나"라며 "그 분(김 전 회장)이 전에는 어땠는지 모르지만, 여기 오셔서 시대에 부합하는 정책을 만드는 데 일조하면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 분 혼자 하는 게 아니라 분과 위원회와 같이 토론해서 하는 구조이지, 일방적으로 누가 위원장이란 직함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로가기 : https://www.smartf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604 |